푸드마일리지 계산하기, 건강하게 줄이는 방법
푸드마일리지라는 개념이 있습니다. 이 수치가 높을수록 환경에도 좋지 않고, 우리 건강에도 안 좋은 영향을 줄 확률이 올라갑니다.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이 수치가 높은 편이며, 줄어들기는 커녕 점점 올라가고 있다고 합니다. 쉽게 풀어쓰자면, 수입산 먹거리에 엄청나게 의존하고 있다는 것이 됩니다.
<푸드마일리지 계산하기, 건강하게 줄이는 방법>
1. 어떻게 계산하지?
먹거리가 생산되고 최종적으로 우리네 식탁에 오르기까지의 거리를 푸드 마일이라고 부릅니다. 여기에 무게까지 계산한 것은 푸드마일리지라 합니다. 계산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푸드 마일리지(t.km) = 식품 이동 거리 (km) x 식품의 무게 (t)
바나나 1톤을 1만km 거리에서 수입해왔다면 푸드마일리지는 1t x 10,000km = 10,000t.km이 됩니다.
2. 뭐가 문젠데?
- 거리가 멀수록, 무거울수록 이동 시 많은 에너지가 필요합니다.
- 즉, 환경오염에 기여하게 되지요.
- 멀수록,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상하지 않게 하려고 무언가의 조치를 해야 합니다. 방부제나 화학 약품이 첨가되지요.
- 식량 자급자족이 어려워집니다.
-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.
위와 같은 문제로 높은 푸드마일리지는 여러 면에서 좋지 않습니다. 지구를 오염시킬 뿐 아니라, 우리 건강에까지 위협을 가하게 되는 것이지요.
3. 그럼 어떻게 하는 게 좋을까?
푸드마일리지를 건강하게 줄이는 방법은
- 직접 농사지어 먹기
- 로컬 푸드 활용하기
- 유기농 제철 음식 먹기
기본적인 세 가지 방법이 있습니다.
직접 농사하는 건 힘드니 로컬푸드를 최대한 활용하며, 제철 먹거리를 먹는다면 건강하게 푸드마일리지를 줄일 수 있습니다. 국가적인 문제도 있겠지만, 푸드마일리지는 개인적인 문제, 한 가정의 소규모 집단적인 문제로 볼 수도 있습니다.
우리가 장을 볼 때 원산지를 봐야 하는 큰 이유 중 하나입니다. 국산을 이용하는 것이 단지 애국심 때문이 아니라, 우리의 건강과도 연계가 된다는 것이지요.
내가 선택해서 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, 당장 작은 것부터 실천해보시기 바랍니다. ^^
'재미있는 이야기들 > 리빙 l 건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영등포 김안과 진료시간, 점심시간 (0) | 2017.12.09 |
---|---|
감마지피티 수치 높다면 알코올성 질환 의심해보세요 (0) | 2017.11.02 |
덴마크인 행복비결, 휘게라이프 진정한 의미 (0) | 2017.11.01 |
이코노미증후군 걸릴 수 있는 상황 및 조치방법 (0) | 2017.10.31 |
돌출입 연예인 유재석 (0) | 2017.10.27 |